본문 바로가기
건설안전기술사/기출문제

건설안전기술사 기출문제 : 강교 가조립의 순서, 가설공법의 종류와 안전대책

by 두둥실둥이 2024. 6. 9.
반응형

건설안전기술사 기출문제 : 강교 가조립의 순서, 가설공법의 종류와 안전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

 

1. 개요

 

- 강교 가설공법에는 지지방식과 운반방식이 있으며, 가설지점의 지형과 현장조건, 교량구조형식, 안전성을 고려해 선정해야 하며 특히, 강교를 설치전에 공장에서 미리 선조립하여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해결하기 위한 가조립의 관리가 안전한 시공의 중요한 사안이 된다.

 

 

2. 가조립 순사

 

- 원칙

  • 1경간 이상, 제품은 무응력 상태

- 목적

  • 치수검사, Camber 조정, 거치 시 문저점의 사전파악

- 순서

  • Ground Marking > 가조립 Suport Setting > Box Girder 배열 및 Setting > Cross Beam(가로보)과 Stringer(세로보) 조립 > Splice Bolt 체결 및 Stud Bolt 시공 > Sole Plate 시공 및 검사

 

 

3. 가설공법의 종류

 

종류 가설공법 조건
지지방법 벤트식, 가설거더공법 교량거더 하부에서 지지하는 방식
가설거더공법 교량거더 상부에서 지지하는 방식
밀어내기공법, 캔틸레버공법 교량 자체로 지지
대블럭공법 교량거더의 지지가 필요하지 않은 방식
현장 내
운반방법
자주크레인 가설하는 지점 아래까지 자주크레인이 진입 가능한 경우
케이블크레인 자주크레인은 사용 불가능하나, 철탑, 앵커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경우
플로팅크레인, 대성 해상, 수상에서 선박이 진입할 수 있는 경우
트레블러크레인, 문형크레인 거더, 주브레이싱 및 지상에 궤도를 설치할 수 있는 경우
대차, 끼워넣기 설비 기타 병용방법을 사용할 경우

 

 

플로팅크레인 / 문형크레인

 

4. 가조립 시 안전대책

 

- 교각의 위치는 실체와 일치하도록 할 것

- Camber는 Total Camber를 적용하고 Level 검사를 철저히 할 것

- 횡단면상 편구배는 도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것

- 볼트 체결은 정확한 토크값으로 조립할 것

- 현장이음부와 연결부는 볼트구멍수의 30% 이상 볼트 및 드리프트 핀을 사용할 것

- 검사시기는 태양열에 의한 변형을 고려해 일출이나 일몰 30분 전에 실시할 것

 

 

5. 재해예방을 위한 부재조립 시 안전대책

 

- 강재거치 유도 시 유도로프 및 보조기구 사용

- 고소작업 시 안전대 착용

- 조립작업 시 유도자 배치

- 거더 단부에 안전대 걸이 로프나 안전난간 설치

- 강부재 내부 작업 시 환기조치

- 거더 조립 시 전도방지조치

- 거더 사이에는 작업통로 설치

- 거더 하부에 낙하물 방지망 안전하게 설치

 

 

6. 강교슬래브 시공 시 안전대책

 

- 철근 등 작업 후 잔재물에 대한 처리계획 수립

- 조립철근 상부에 안전한 통로 설치

- 데크플레이트는 조립순서에 맞춰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미고정 데크레이트에 위험표지

- 과하중 방지조치 및 고정점 보강조치

- 펌프카 타설 시 타설위치 및 붐대의 적정 각도 사전 검토

- 차량통행 구간 하부에 탁하물 방호설비 설치

- 데크플레이트 조립장소에 개구부 발생 시 안전난간 설치

 

 

7. 결론

 

- 강교는 자재 절단, 드릴작업, 벤딩, 조립, 용접, 가조립, 도장, 현장가설 등의 작업공정이 매우 복잡하며 특히, 가조립의 관리가 재해예방과 시공관리에 가장 중요한 사안이 되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