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건설안전기술사/용어

건설안전기술사 용어 : RMR(Rative Metabolic Rate)과 작업강도

by 두둥실둥이 2024. 5. 12.
반응형

RMR(Rative Metabolic Rate)과 작업강도

 

1. 개요

 

- 'RMR(에너지대사율, RelativeMetabolic Rate)'이란 작업강도의 단위로서 산소호흡량을 측정하여 Energy의 소모량을 결정하는 방식을 말함

 

- 작업강도 작업을 수행하는 데 소모되는 Energy의 양을 말하며 RMR이 클수록 중작업

 

2. RMR(Rative Metabolic Rate) 산정식

 

RMR = 작업대사량 = 작업 시 산소소모량 - 안정 시 산소소모량
기초대사량 기초대사량

 

 

 

3. RMR과 작업강도

 

RMR 작업강도 작업강도의 실례
0 ~ 2 경작업 주로 앉아서 하는 작업 : 정밀작업, 사무작업, 바느질
2 ~ 4 보통작업 동작 및 속도가 낮은 작업 : 연마, 재단, 해머 사용 못박기
4 ~ 7 중작업 동작 및 속도가 높은 작업 : 일반적인 전신작업, 벼베기, 보행
7 이상 초중작업 과격작업(전신작업) : 전신천공작업, 해머

 

 

 

4. 작업강도 영향 요소

 

- Energy의 소모량

- 해당 작업의 속도

- 해당 작업의 자세

- 해당 작업의 양(많고 적음)

- 해당 작업의 범위

- 해당 작업의 위험도

- 해당 작업의 정밀도

- 해당 작업의 복잡성

- 해당 작업의 소요시간

- 해당 작업의 변화도

- 해당 작업의 수행의지(주의집중의 정도)

- 해당 작업의 제약의 정도

- 해당 근로자의 판단의 정도

- 해당 근로자의 대인관계

 

 

반응형